Loading...

K-푸드와 K-뷰티의 인기로 하반기 중소기업 수출 증가 전망

K-푸드와 K-뷰티의 인기로 하반기 중소기업 수출 증가 전망 Image

K-푸드와 K-뷰티의 인기가 지속됨에 따라, 올해 하반기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중소기업이 그렇지 않다고 보는 중소기업보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0일부터 15일까지 304개의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수출 현황 및 시장 진출 계획'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28.6%였으며,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19.5%에 그쳤다. 이는 증가 응답이 9.1%포인트 더 높은 수치이다.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1.9%로 나타났다.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이 속한 주요 품목으로는 식품(41.3%), 뷰티미용(39.1%), 의료바이오(34.1%) 등이 있었다.

수출 증가를 예상하는 이유로는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69.4%)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이어서 수출국 및 수출품목의 다변화(27.1%), 품질 개선(16.5%), 상대국 경기 회복(15.3%) 등이 꼽혔다.

반면, 가장 큰 수출 위험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38.5%)과 신규 구매자 발굴의 어려움(17.4%), 운임 상승 등 물류 차질(14.8%), 인증 등 비관세 장벽 확산(11.2%) 등이 있었다.

중소기업들은 수출 확대를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제로 해외 전시회 등 수출 마케팅 지원 확대(78.6%), 인증 등 비관세 장벽 대응 지원(56.3%), 신시장 개척 지원(54.3%), 물류비 지원(50.0%) 등을 제안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소기업의 수출 실적은 미국(25.3%)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중국(11.5%), 베트남(8.9%), 일본(6.6%), 러시아(5.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규 국가에 진출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69.4%였으며, 중소기업들이 가장 많이 고려하는 신규 진출 국가는 미국(20.9%)이었다.

. . .

 

이상은 중소기업중앙회의 하반기 수출 실적 전망에 대한 발표였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높아져가는 한국 문화 및 제품에 대한 관심도로 인해, 국내 업체들의 세계시장을 향한 수출 시도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바이어를 찾는 일이 생각보다 수월하지 않아서 고민이신 사장님들이 많이 계시지요.

해외 바이어 발굴과 영업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최대한 많은 해외 바이어를 발굴하고, 관심을 보이는 바이어와 접촉을 시작하는 1차적인 영업을 AI에게 맡기는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좀 더 수월한 해외영업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AI 해외 영업이 시작된 스토리]

 


작성자 알파매치
Tags
K뷰티, K푸드, 수출, 화장품 수출, 중소기업중앙회, 하반기수출, 중소기업수출
Top